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2 회사의 교육이 효과가 없다면 왜 직원 교육의 효과가 없는 것일까? “우리도 직원 교육에는 힘을 쏟아 왔는가” 적자 때문에 얼굴이 파랗게 질린 어떤 회사 사장의 말이다. 들어보니 이 회사는 모(母) 회사가 지정한 A라는 연수원에 전체 직원들을 파견하여 몇 년 동안 교육을 받게 했다고 한다. 그것도 상당한 돈을 들여서 말이다. 나는 기술 취득이나 자격을 얻기 위한 연수는 직원 교육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본래 자기 계발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회사가 장려는 할 수 있어도 주도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당신 회사에서는 어떤 식으로 직원 교육을 하고 있는가? 예전에는 “교육 따위가 왜 필요해" 하는 곳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 회사는 없다.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은 모든 회사가 다 알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은 최고 경영자가 행하는 것이.. 2021. 5. 24. 미래를 계획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20년 후를 내다보는 비전을 세운다. 직원 교육이라고 하면 영업부일 경우, 세일즈 연수, 제조 부문일 경우 기술 연수밖에 머릿속에 떠오르지 않는 사장이 있다. 그는 직원들에게 실무교육을 해서 그것이 힘이 될 수 있다면 교육은 완료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는 교육을 충분히 하고 있습니다. 메이커의 기술교육에 수시로 파견하고 있고, 예의나 인사 같은 기본 훈련에도 나가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다른 교육은 필요 없습니다.”라고 자신만만하게 말한다. 그러나 직원 교육을 현장 업무에 직결시키는 실무교육으로만 한정하고 그보다 넓은 범위의 교육은 불필요하다고 보는 회사는 인재를 길러낼 수 없다. 이 회사는 기둥 없는 집처럼 위태롭다. 강한 바람이 불면 맨 먼저 쓰러질 것이다. 땅이 흔들리면 쓰러져 버릴 것이다. 거.. 2021. 5. 21. 프로 같은 직원 양성 방법 3가지 프로 의식을 키워야 한다. 프로의 세계는 자립 자력의 세계이다. 승리도 패배도 전부 자기 한 사람 몫이다. 다른 것의 탓으로 돌릴 수도 없고 핑계를 댈 수도 없다. 설령 핑계를 대도 아무도 들어주지 않는다. 패배의 책임을 다른 것에 전가시켰다가는 기껏해야 “그만둬!” 하는 고함이나 듣게 된다. 이기면 수입이 늘고 지면 수입이 줄어든다. 단순 명쾌하다. 수입 줄었다고 해서 누군가를 원망할 수도 없다. 자기의 능력 부족과 운 없음을 인정하고 노력 부족을 반성하는 수밖에 없다. 프로 세계에 몸을 담은 사람에게 의식 교육은 필요 없다. 평등이라느니, 차별 반대라느니, 개성 존중이라느니, 인권이라느니, 목청 높여 떠드는 사람도 없다. 이 세상은 불평등하고 차별이 있으며 강자는 우대받고 약자는 냉대받는다. 설령 신.. 2021. 5. 21. 인재를 성장 시킬 수 있는 첫번째 방법 미래를 생각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공립학교 교원 채용 시험에서 영어 회화로 면접을 한 마을이 있었다. 국어 선생이나 수학 선생도 인사말이나 자기소개 같은 것을 영어로 해야 했다. 그 마을의 교육 위원회는 '외국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은 중요하다. 교사에게 영어 회화를 중요시하는 의식이 있으면 그것이 아이들에게도 전달된다'라고 그 의도를 밝혔다. 그러나 나로선 이해가 되지 않았다. 교육 위원회가 말하는 '외국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라는 건 누구와 누구와의 의사소통을 뜻하는 것일까? 교사와 학생 사이도 아니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그것도 아닐 것이다. 아마도 그것은 외국인과의 의사소통일 것이다. 그것을 위해서 영어 회화가 중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왜 외국인과의 의사소통 능력이 그토록 중요한 것일까? 중.. 2021. 5. 21. 이전 1 2 3 4 ··· 8 다음 반응형